그린벨트의 과거와 미래, 그리고 정책의 위험성
대한민국의 그린벨트는 오늘날 환경 보호와 도시 개발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정책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 시작은 박정희 대통령의 재임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박 대통령은 경제 성장을 이끄는 과정에서 무분별한 도시 확장을 방지하고, 환경을 보존하며, 국민에게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의 질을 제공하는 미래 지향적 전략으로 그린벨트를 지정했다. 그린벨트는 단순히 개발을 막는 것이 아니라, 도시 계획의 핵심 요소로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도시 밀집도를 낮추고 공공 복지를 증대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박정희 대통령의 혜안: 지속 가능한 개발의 기틀
박정희 대통령이 그린벨트를 지정한 이유는 국가의 발전과 함께 환경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기 위함이었다.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문제들은 이미 세계 여러 나라에서 경고의 메시지로 다가오고 있었고, 이를 미리 방지하기 위해서는 개발과 보존의 균형이 필요했다. 박정희 대통령은 환경 보전이 미래의 국민 건강과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인식했다. 그린벨트는 도시 주변에 자연의 완충 지대를 형성함으로써 도시의 과밀화를 막고, 기후 변화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며, 미래 세대에게도 건강한 환경을 남길 수 있는 중요한 정책이었다.
근시안적 정책의 함정: 현 정부의 그린벨트 해제 추진
윤석열 정부의 그린벨트 해제 정책은 경제 활성화와 주택 공급 확대라는 명분 아래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기적인 경제적 이득을 위한 조치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매우 위험한 선례를 남길 수 있다. 그린벨트 해제는 곧바로 부동산 개발로 이어져 환경 파괴와 생태계 교란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의 자연 공간을 앗아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지금은 기후위기의 시대이다. 기후 변화로 인한 폭염, 홍수, 가뭄 등 자연재해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린벨트는 도시의 열섬 현상을 완화하고 온실가스 흡수를 돕는 안전장치로 기능하고 있다.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그린벨트를 해제하는 것은 단순한 개발 정책이 아니라 미래 세대의 생존을 위협하는 선택이 될 수 있다. 그린벨트를 해제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하고 기후 위기에 대한 대응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도시의 기온 상승과 같은 문제를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공기 질 악화와 건강 문제를 초래해 사회적 비용을 증대시킨다.
지지율이 낮은 지도자의 결정이 미치는 영향
정치적 지지 기반이 약한 지도자가 근시안적 정책을 내세우는 것은 그 효과가 더욱 치명적일 수 있다. 지지율을 높이기 위해 단기적 성과에 집중하는 경우, 정책은 장기적 비전을 간과하고 미래의 문제를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 현재 윤석열 정부의 그린벨트 해제 정책은 이에 해당한다. 지지율을 의식한 즉각적인 경제 성과에 치중하다가 환경 보전의 근본적인 가치를 무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우리 후세가 직면할 환경 문제와 자원 부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미래 후세를 위한 교훈
그린벨트는 단순한 규제 정책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 사회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자연을 얼마나 소중히 여기고, 이를 지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그린벨트의 해제는 환경, 경제, 사회에 장기적인 부정적 영향을 끼치며, 박정희 대통령의 선견지명을 무색하게 만든다.
정책 입안자들은 단기적 성과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의 국가 발전과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책임감을 갖고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지금의 그린벨트 해제는 우리 후세가 뼈저리게 후회할 치명적 실책으로 남을 것이다. 환경 보전의 가치는 단지 오늘의 경제 성과와 맞바꿀 수 없는, 우리 삶의 필수적인 자산임을 정책 결정자들은 반드시 명심해야 한다.
▲ 박정희 대통령의 미래 후세를 위한 정책, 그린벨트 도시화도 필요하지만 도시에는 녹색지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박대통령의 혜안이 지구 온난화 시대에 서울을 지켜주는 보호막이 되었다. © 제니윤 기자
|
▲ 그나마 아름다운 서울을 지켜준 그린벨트 현황. 지구 온난화와 기후위기의 시대에 그린벨트 해제가 과연 올바른 정책인지 의문이다.... ( 서울시 제공 ) © 제니윤 기자
|